월스트리트저널은 미 행정부 관계자들을 인용해 바이든 대통령이 2020년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핵무기의 '단일 목적 정책'을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일 목적 정책은 미국의 핵무기를 적대 국가의 핵 공격 억지나 반격에만 사용하도록 사용처를 제한하겠다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이 정책을 폐기하는 건 앞으로 생화학 무기나 재래식 무기를 앞세운 적대국에도 미국이 핵 공격을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10년, 15년 후의 세계 구도는 지금과 결코 같지 않을 것입니다. 우크라이나 문제 때문만은 아닙니다. 중요한 건 누가 이길 것이냐 하는 문제입니다.]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의 공약 폐기는 동맹국들의 우려를 감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을 포함해 유럽 등 미국의 핵우산 보호를 받는 동맹국들은 미국이 단일목적 정책을 도입하는 데 부정적인 입장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에서도 보수층을 중심으로 미국에 적극적이고 강화된 핵우산 약속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대서양조약기구, NATO 회원국들은 바이든 대통령의 공약이 재래식 무기를 앞세운 러시아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반대 목소리가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핵과 생화학 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사용 가능성을 언급하는 상황에서 동맹국의 불안을 잠재우고 러시아에 대한 단합된 대응을 끌어내기 위해 공약 폐기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근 북한이 ICBM 발사를 재개하며 도발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미국으로는 대응할 방안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무대에서 서방 대 중국-러시아의 대결구도가 첨예화되면서 UN 등 국제사회에서 추가제재 합의를 이끌어 내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하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326073925419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